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26

[Python] 13. 함수(function), 매개변수, 키워드 파라미터 학습내용 #1 : 함수(function)란 무엇인가? #2 : 파이썬 함수의 구조 #3 : 매개변수(parameter)와 인수(arguments) #4 : 함수의 4가지 형태 #5 : 매개변수 지정하여 호출하기 #6 : 입력값의 개수를 모르는 경우 #7 : 키워드 파라미터 kwargs #8 : 함수의 결과값은 하나 #9 : return의 값이 없는 경우 #10 : 매개변수에 초기값 미리 설정하기 #11 :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의 효력 범위 #1 : 함수(function)란 무엇인가?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을 출력하는 것이 함수가 하는 일이다. ※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똑같은 내용의 반복을 피할 수 있다. 프로그램을 함수화 했을 때 프로그램의 흐름 파악 용이. 프로그램의 파.. 2021. 10. 9.
[Python] 반복문, 조건문, 이중 for문 예제 학습내용 #1 : 1000이하의 모든 3의 배수의 합을 구하기 #2 : * ** *** **** ***** 출력하기 #3 : * ** *** **** ***** 출력하기(* 앞에 공백) #4 : * *** ***** ******* ********* 출력하기(* 삼각형 모양) #5 : 점수의 평균 구하기, 평균 이상인 학생 찾기 #6 : n! 구하기(factorial) #7 : n! 표 만들기 #1 : 1000이하의 모든 3의 배수의 합을 구하기 #내가 한 방법 add = 0 for i in range(1,1001): if i % 3 == 0: add += i print(add) #정답 : 166833 1부터 1000 사이의 3의 배수의 합을 구해야 하기에 add = 0 과 범위를 설정. 3의 배수를 3으.. 2021. 10. 9.
[Python] 12. 반복문(while, for), 이중 for문, 리스트 내포 학습내용 #1 : while문의 기본 구조 #2 : while문 중단(break) #3 : while문의 맨 처음으로 돌아가기(continue) #4 : while문 사용하여 무한 루프(infinite loop, endless loop) #5 : for문의 기본 구조 #6 : range 함수 #7 : 이중 for문(구구단 프로그램) #8 : 리스트 내포 사용하기(list comprehension) #1 : while문의 기본 구조 while 문은 조건문이 참인 동안에 while 문 아래의 문장이 반복되어 수행. while : 줄 간격을 잘 맞춰야(들여 쓰기) while문이 정상적으로 작동. 조건을 만족할 동안 수행할 문장을 수행함으로 끝을 꼭 설정해주어야 함. 이 참이면 을 수행하고 다시 점검 후 참이면.. 2021. 10. 7.
[Python] 11. 변수(variable)의 복사와 참조 학습내용 #1 : 변수(variable)란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, 객체란 자료형과 같은 것을 의미. a = [0,1,2,3,4] a = [0,1,2,3,4] id(a) #139984599077584 a = [0,1,2,3,4]라는 코드는 [0,1,2,3,4] 값을 가지는 리스트 자료형(객체)이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되고 변수 a는 [0,1,2,3,4] 리스트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가리키게 된다. id( )를 사용해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개체의 주소 값을 반환할 수도 있다. #2 : 복사와 참조 아래 그림에서 참조를 공유하면 a와 b가 하나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a의 값을 바꾼다면 b의 값도 바뀌게 된다. 따라서, 각각의 변수를 달리 쓰고 .. 2021. 10. 6.